대환대출은 기존의 고 금리의 대출을 저 금리의 대출로 갚는 것을 의미합니다. 쉽게 예를 들면 고 금리 카드론, 캐피털, 대부업 등의 대출을 받은 경우 1 금융이나 2 금융 등에서 상대적으로 저 금리의 대출을 새로 받아 기존의 대출을 갚는 것입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저연봉의 직장인은 정부의 여러 정책아래에서 대환대출을 받을 수 있지만, 고연봉자의 경우 대환대출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정부 지원 대환대출
정책 대출은 서민과 저소득 계층을 타겟으로 한 상품들로 새 희망홀씨대출, 징검다리론 새 희망드림대출, 사잇돌 중금리대출, 햇살론 등이 있습니다.
- 햇살론
- 지원 의미: 개인 신용 평점 및 소득이 낮아 제도권 금융 이용이 어려운 서민들을 위한 자금 지원 정책
- 대출 대상: 현 직장 1개월 이상 근무 및 최근 1년 이내 3개월 이상 재직 근로자
연소득 3,500만 원 이하 or 연소득 4,500만 원 이하 & 개인 신용 평점 하위 20% 이하인 사람 - 대출 금액: 최대 2,000만 원
- 대출 기간: 최대 5년
- 대출 금리: 연 11.5% 내외 (단, 보증료 0.9 ~ 2% 별도)
- 햇살론 15
- 지원 의미: 20% 이상 고금리 대출 이용이 불가피한 최저 신용자에게 자금 지원 정책
(기존 햇살론 17 대출을 받은 사람은 햇살론 15로 대환 신청 가능) - 대출 대상: 현직장 3개월 이상 재직 or 사업 영위 사실, 연금 수령 1회 이상 확인
연소득 3,500만 원 이하 or 연소득 4,500만 원 이하 & 개인 신용 평점 하위 20% 이하인 사람 - 대출 금액: 최대 7,00만 원
- 대출 기간: 최대 5년
- 대출 금리: 15.9%
- 대출 기간이 3년 이하이면서 성실 상환시 1년마다 3.0% p 감면
- 대출 기간이 5년 이하이면서 성실 상환시 1년마다 1.5% p 감면
- 지원 의미: 20% 이상 고금리 대출 이용이 불가피한 최저 신용자에게 자금 지원 정책
- 새 희망홀씨 대출
- 지원 의미: 소득이 적거나 신용이 낮아 은행 대출이 어려운 계층을 위해 별도의 심사기준을 마련하여 대출해 주는 서민 맞춤형 대출 상품
- 대출 대상: 연소득 3,500만 원 이하 or 연소득 4,500만 원 이하 & 개인 신용 평점 하위 20% 이하인 사람
- 대출 금액: 최대 3,500만 원
- 대출 기간: 최대 5년
- 대출 금리: 10.5% 내외
- 징검다리론 새 희망 드림 대출
- 지원 의미: 4대 정책 상품 (새 희망홀씨, 햇살론, 미소금융, 바꿔드림 론)을 성실하게 상환한 이후 이용 가능한 서민맞춤형 대출 상품
- 대출 대상: 4대 정책 상품을 2년 이상 거래하고 해당 대출을 75% 이상 상환한 사람 or 전액 상환 한 사람 중 신용 등급 5등급 이상인 사람
- 대출 금액: 최대 3,000만 원
- 대출 기간: 최대 5년
- 대출 금리:연 9.0% 이내
- 사잇돌 중금리대출
- 지원 의미: SGI 서울 보증에서 차주의 신용도에 따라 보증 지원하는 상품으로 시중 은행과 상호 금융, 저축 은행을 통해 접수 가능한 대출 상품
- 대출 대상:
- 근로자: 현직장 5개월 이상 재직 중 & 연소득 1,200만 원 이상
- 사업자(프리랜서 포함): 사업 개시일로부터 4개월 이상 운영 중 & 연소득 600만 원 이상
- 연금수령자: 연금을 1회 이상 수령 or 연소득이 600만 원 이상(단, 군인 & 공무원 & 국민 연금자)
- 대출 금액: 최대 3,000만 원
- 대출 기간: 최저 1년 ~ 최대 5년
- 대출 금리: 연 9% ~ 연 16%
DTI가 적용되는 연소득 부채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일반 법인 or 외감 법인에서 근무하는 경우: 180%까지
- 코스피, 코스닥, 상장 법인 및 대기업: 200%
- 공무원: 230%
- 교직원, 대학병원, 대학교에서 근무하는 경우: 230%
대출 비교 플랫폼
대출 비교 플랫폼으로는 네이버페이 | 카카오페이 | 토스 | 뱅크샐러드 | 핀다(finda) | KB국민카드 | 웰컴저축은행 등이 있습니다.
직장인 대환대출 가능한 1 금융권
개인적인 신용점수와 여러 상황에 따라 대출 여건이 다르다는 것은 기본 상식으로 알고 계실 것입니다.
아래는 제가 직접 홈페이지를 뒤져가며 찾은 내용들입니다. 참고하셔서 꼭 대출을 잘 받으시길 응원합니다.
- KB국민은행
- 직장인 든든 신용 대출
- 대출 대상: 재직 기간 3개월 이상 당행 선정 우량 직장인 or 재직 기간 6개월 이상 일반 직장인
(단, 정규직 공무원과 군인, 교사는 재직 기간 관계없음) - 대출 금액: 최고 3억 (단, 재직 기간 1년 미만은 최대 5천만 원 이내)
- 대출 기간: 최대 40년
- 대출 금리: 최저 연 5.15% ~ 최고 연 6.14%
- 대출 대상: 재직 기간 3개월 이상 당행 선정 우량 직장인 or 재직 기간 6개월 이상 일반 직장인
- KB 새 희망홀씨 긴급생계자금
- 대출 대상: 개인 신용 평가 시스템(CSS)에 의해 대출 적격자로 판정된 국내 거주 국민 중
- KB 새 희망홀씨(1 or 2) 대출을 1년 이상 성실 상환 중인 고객 중 최근 1년간 누적 연체일수가 10일 이하인 고객
- KB 새 희망홀씨 긴급생계자금 대출을 보유하지 않은 고객(1인 1계좌만 가능)
- 대출 금액: 최대 500만 원 이내
- 대출 기간: 최저 1년 ~ 최대 5년
- 대출 금리: 최저 연 7.66% ~ 최고 연 8.66%
- 대출 대상: 개인 신용 평가 시스템(CSS)에 의해 대출 적격자로 판정된 국내 거주 국민 중
- KB새희망홀씨 2
- 대출 대상: CCS에 의해 대출 적격자로 판정된 국내 거주 국민으로서 연간 소득 4천만 원 이하
- 대출 금액: 최대 3,500만 원
- 대출 기간: 최저 1년 ~ 최대 7년
- 대출 금리: 최저 연 7.83% ~ 최고 연 8.83%
- 직장인 든든 신용 대출
- 우리은행
- 우리 주거래 직장인 대출
- 대출 대상: 연소득 3천만 원 이상 or 연소득 2천만 원 이상이며 주거래 요건 충족 고객
- 대출 금액: 연소득의 150% 범위 내 최대 2억 원
- 대출 기간: 최저 1년 ~ 최대 5년
- 대출 금리: 최저 4.82% ~ 최대 12%
- 사잇돌 중금리 대출
- 대출 대상: 서울보증보험 보험증권 발급 가능 고객 중 우리은행의 심사를 충족하는 개인 및 개인사업자
- 급여 소득자: 현 직장 재직 3개월 이상 & 연소득 1,500만 원 이상
- 사업 소득자: 사업 영위 기간 6개월 이상 & 연소득 1,000만 원 이상
- 연금 소득자: 공적 연금 수령 1회 이상 & 연소득 1,000만 원 이상
- 대출 금액: 최소 100만 원 ~ 최대 2천만 원
- 대출 기간: 최대 5년
- 대출 금리: 최저 6.95% ~ 최대 12%
- 대출 대상: 서울보증보험 보험증권 발급 가능 고객 중 우리은행의 심사를 충족하는 개인 및 개인사업자
- 우리 주거래 직장인 대출
- 카카오뱅크
- 신용 대출
- 대출 대상: 연소득 3,500만 원 이상 & 재직 기간 1년 이상
- 대출 금액: 최대 3억 원
- 대출 기간: 최저 1년 ~ 최대 5년 (대출 만기 전 1년 단위로 최대 10년까지 연장 가능)
- 대출 금리: 최저 4.93% ~ 최대 8.37%
- 중신용 대출
- 대출 대상: 연소득 2,000만 원 이상 & 재직 기간 1년 이상
- 대출 금액: 최대 1억 원
- 대출 기간: 최저 1년 ~ 최대 10년 (대출 만기 전 1년 단위로 최대 10년까지 연장 가능)
- 대출 금리: 최저 4.41% ~ 최대 15%
- 신용플러스대출
- 대출 대상: 연소득 2,000만 원 이상 & 재직 기간 1년 이상
- 대출 금액: 최대 5,000만 원
- 대출 기간: 최저 1년 ~ 최대 10년
- 대출 금리: 최저 6.99% ~ 최대 15%
- 신용 대출
- 신한은행
- 쏠 편한 직장인 대출
- 대출 대상: 연소득 2,200만 원 이상 & 재직 기간 1년 이상
- 대출 금액: 최대 5,000만 원
- 대출 기간: 1년 단위로 최대 20년까지 연장 가능
- 대출 금리: 최저 연 6.16% ~ 최대 연 6.65%
- 쏠 편한 직장인 대출
'정보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여세 종부세 등 공제 한도 변경 (0) | 2023.08.30 |
---|---|
SCHD vs JEPI 어디에 투자하는게 이득일까? (0) | 2023.08.24 |
알뜰폰 프로모션 진행중인 곳들 알려드립니다. (0) | 2023.08.13 |
부업 투잡 수익 파이프라인 종류를 알아봅시다 (0) | 2023.08.12 |
수해 폭우 재난 지원금 보상금 어떻게 될까? (1) | 2023.07.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