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청년수당은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생활지원 정책 중 하나이다.
해당 정책은 서울 거주 실업, 미취업 청년의 구직활동과 생활 안정 지원을 위해 시행되고 있다. 현재 청년수당 1차는 3월에 마감한 상태이며, 2차 추가 신청이 남아 있다. 서울시에 거주 중이라면 절대 놓치지 말고 지원하길 바란다.
지원 대상 및 지원 내용
※ 지원대상
→ 만 19~34세 서울시 거주, 최종학력 졸업 후 미취업자 (1988. 06. 01 ~ 2004. 06. 30 출생자)
→ 단기 근로자도 지원 대상에 포함됨 (주 30시간 or 3개월 이하로 계약된 근로자)
→ 2023년 6월 전 (5월까지)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대학원 졸업 & 중퇴 & 제적 & 수료자
<제외 대상>
: 대학(원) 재학생 및 휴학생 신청 불가
단, 방통대, 사이버대, 학점은행제 재학생은 이전 고교 & 대학 & 대학원 졸업했다면 신청 가능
※ 지원 내용
① 금전적 지원: 50만 원(매월) X 최대 6개월 = 300만 원
② 비금전적: 청년 유형별 맞춤형 지원 - 진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 사업과 연계를 지원함
추가 신청 기간 및 신청 방법
※ 추가 신청 기간: 2023년 6월 12일(월) 10:00 ~ 6월 14일(수) 16:00
※ 신청 방법
→ 체크카드(클린카드) 사용
단, 해외 사용이 불가하고, 사용 업종이 제한되어 있는 카드임(호텔, 주점, 귀금속 판매 등 50여 개 업종)
선정 방법 및 발표
※ 선정 방법
→ 참여자 요건 충족 여부에 대한 정량평가
→ 예산 범위 초과 신청 시 우선 선정 기준
① 중위소득 85% 이하인 단기 근로 청년 (주 30시간 이하 or 3개월 이하 근로)
② 중위소득 85% 이하인 진학 준비 청년 (서울런 사업 교과과정 참여자)
③ 건강보험료 부과액 기준 저소득 청년
※ 발표
→ 예비 선정자 발표: 2023년 7월 5일(수) 18:00 예정
→ 확인 방법: 청년 몽땅 정보통 접속 후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주의 사항 및 그 외 알아야 할 내용
※ 신청 인원이 7,000명 내외이기 때문에 이 글을 보는 즉시 신청하시길 바란다.(귀차니즘 X)
※ 소득 요건: 2023년 5월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건강보험료 월 부과액 기준)
단, 기초생활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은 신청 불가
건강보험료 부과가구원 수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중위소득 150%) | |
직장 가입자 | 지역 가입자 | |
1인 가구 | 111,677원 | 50,654원 |
2인 가구 | 183,861원 | 142,142원 |
3인 가구 | 237,913원 | 206,359원 |
4인 가구 | 291,898원 | 273,699원 |
※ 당첨 시 필수 이행사항
→ 청년 수당 안내 책자 내용 숙지 (사전교육 실시 예정)
→ 계좌 개설 및 카드 발급 (7월 13일 ~ 7월 20일 예정)
→ 1회차 첫 지급일: 7월 28일(금) 예정
'정보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금 포인트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0) | 2023.06.06 |
---|---|
2023년 6월 티스토리 자체 광고 신설 이슈 (약관 변경) (0) | 2023.06.06 |
대출 갈아타기 진짜로 되나? (0) | 2023.06.05 |
우크라-러시아 전쟁 기록 일지 (0) | 2023.06.04 |
미국 부채한도 협상 드디어 타결!! (0) | 2023.05.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