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83 현금 인출 시 국세청에 보고되는 프로세스 1. 현금 인출할 때 국세청에 보고되는 조건은? : 2019년도부터 1천만 원 이상으로 기준이 하향됐다. 2. 보고를 해야 되는 금융기관 - 일반 금융기관(2 금융권도 포함 저축은행, 상호금융) - 전자금융기관(카카오페이, 토스) - 500억 이상 자산 대부업자 3. 그렇다면 천만 원 이상이면 무조건 보고 되는 건가? - 직접 현금 입금과 현금 출금 거래를 할 시 보고한다. - ATM기로 출금해도 보고대상이다. - 수표의 현금 교환, 현금의 무통장 송금도 포함된다. - 달러로 인출하는 경우도 똑같은 금액 제한된다. 4. 보고 대상이 아닌 사항은? - 수표는 천만 원 이상이라도 보고대상 아니다. - 계좌이체도 보고대상 아니다. - 교환(만 원권->5만원권 등)도 보고대상 아니다. 5. 나눠서 인출하는 경우.. 2022. 5. 31. 나랜디 2.9 - Fix1 꿀Tip (3, 마지막 편) 게임은 쉽게 생각하면 "전설" 기준으로 10 레벨 보스에서는 유니크 1~2 기면 충분하고, 20 레벨 보스에서는 전설(또는 히든) 1기 있거나 유니크 4기 정도 있으면 클리어 가능하다. 그리고 30 레벨부터는 엘리트나 에픽 1기가 꼭 있어야 하며 이왕이면 하쿠를 만드는 것을 추천한다. 그리고 60 레벨부터는 마다라 에픽이 없다면 클리어하기 힘들 것이다. 그리고 보통 10 레벨당 1기의 엘리트나 에픽이 추가되면 무난하게 클리어할 수 있다. 즉, 70 레벨 보스는 7기의 엘리트나 에픽이 있으면 된다. 물론 90 레벨 이상부터는 조합도 중요하고 +1 기의 엘리트나 에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방깎 = 방어력 깎아주는 것. 매우 중요한 특성임) 하쿠 마경빙정: 방깎 50 + 이속감소 10% + 마법방어력 수치.. 2022. 5. 30. 나랜디 2.9 - Fix1 꿀Tip (2) 현재 제 수준을 먼저 말씀드리면, 솔 헬은 매우 높은 확률로 클리어 가능하고 솔 전설의 경우 94라 사망하는 경우가 많으며 최소 80라 이상은 간다. 솔 익스트림의 경우 74라 이상 못 가봤다. 1. 나랜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적당한 고급 도박(앞으로 줄여서 고도라 칭함)을 하는 것이다. 근데 그 적당한 이라는 지점을 찾는 것이 매우 어렵다. 지극히 경험적인 측면에서 그 적당한 지점을 지정한다면 천상도페인(스페셜)의 존재 유무이다. 나랜디에서 필수적인 유닛들을 뽑으라면 단연 마다라 에픽일 것이다. 왜냐하면 보스와 라인 몹들의 방어력을 대폭 깎아주기 때문이다. 이런 방깎 유닛들은 게임 클리어에 매우 중요한데 그중에 1등이기 때문이다. 그런 마다라 에픽이 나오려면 천상도페인이 2기가 있어야 하고 천상도페인.. 2022. 5. 29. 나랜디 2.9 - Fix1 꿀Tip (1) 나랜디, 나루토 랜덤 디펜스는 정말 오래된 게임이지만 가끔 하면 재미있는 게임이다. 오랜 시간 해오며 느꼈던 소소하지만 꿀팁들을 적어본다. 먼저 가장 기본이 되는 퀴즈와 히든 조합 표이다. 1번 문제 : 나랜디 제작자 & 치킨 창조 ㄹㅍㄹㄹ은 누구일까요? 정답은 : 랄프로렌 2번 문제 : 나랜디 카페 부매니저 노모왕 ㄴㅁㅎㅅ은 누구일까요? 정답은 : 노모효성 3번 문제 : ㄹㅇㅈㅅㅋㅅ는 무엇일까요? 정답은 : 레이저서커스 4번 문제 : 9미는 ㅊㄷㄹ 입니다. 해당 초성은 무엇일까요? 정답은 : 츤데레 5번 문제 : M16 운영진 도라이 ㅍㄷㄹ는 누구일까요? 정답은 : 판도라 6번 문제 : 사스케가 달의눈을 시전하고 중2병에 걸린 화수는? 정답은 : 692 7번 문제 : ㅋㅋㅅㅅㅅㄴㅇ는 무엇일까요? 정답은.. 2022. 5. 29. 두 번째 책을 읽은지 어느새 1달이 지났네요. 정말로 반성하고 있습니다. 1일 1포스팅도 못하고 있습니다. 사실 1일 1포스팅은 체력적으로 부담이 클 것이라 생각했었기에 어느 정도 핑계거리는 있습니다. 하지만 독서를 못하고 있다는 것은 변명의 여지가 없네요. 있는 시간을 할애하고 없는 시간은 쪼개서 다시 책을 읽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힘을 내서 생활 패턴을 바로 잡고 힘내겠습니다. 나와 한 약속도 못 지키면서 다른 사람과의 약속은 어떻게 지킬 것인가? 2022. 5. 26. 월세 살고 있는데 도중에 집주인이 변경되면?? (feat. 전세도...) 월세(또는 전세)를 살고 있는 도중 집주인이 변경되는 경우는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증여하거나 매매하는 등 여러 이유가 있을 수 있다. 그럴 경우 임대인의 입장이 아닌 임차인의 입장에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확실한 것은 모르면 당할 수 있다는 점이다. 꼭 올바른 대응 방법을 알아가길 바란다. 1. 주택 임대차 보호법 3조 4항 (임차인의 생명과도 같은 조항) 주택임대차 보호법 3조 4항 “매매 시 양수인은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한다.” - 임차인들을 위한 편면적인 강행규정이다. 또한,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하기 때문에 집주인이 바뀌어도 임차인을 함부로 나가라고 할 수없다. 남아 있는 기간을 무조건 존속시키게 되어 있다. 하지만 임대차 3법이 바뀌면서 집주인이나 직계가족이 직접 거주할 경.. 2022. 5. 19.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