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성

버팀목 전세 자금 대출의 모든 것

by B기자º™ 2023. 9. 3.

내 집 마련이 최고라고도 하지만 또 누군가에게는 여러 여건상 전세를 해야 할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 버팀목 전세 대출은 한줄기 빛과도 같습니다.

버팀목 전세 자금 대출의 장점으로는 크게 다음과 같은 2가지가 있습니다.

  1. 최저 금리: 1%대
  2. 상환, 연장 등이 비교적 자유로움

초 저금리로 대출을 받아 주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버팀목 전세 대출에 대해 대출 가능한 대상, 대상인 주택, 신청 시기, 이용 기간, 대출 한도, 대출 금리 순서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버팀목 전세 자금 대출 「대출 대상」 「대상 주택」

 

 

  1. 대출 대상
    1. 전세 계약 체결 후 보증금을 최소 5% 이상 지불한 사람
    2. 대출 접수일 현재 민법상 성년인 세대주
      • 단, 대출 실행 후 1개월 내 세대 분가 또는 합가로 세대주 예정자는 가능함
    3. 세대 구성원 전원 무주택자
    4. 주택 도시 기금 대출, 은행 전세 대출, 주택 담보 대출 미 이용자
      • 성년인 세대원 전원, 결혼 예정인 배우자 포함해서 모두 기금 대출 이용 중이면 대출 불가
    5. 부부 합산 소득 5,000만 원 이하
      • 단, 다음의 경우 6,000만 원 이하
        1. 신혼부부
        2. 혁신 도시 이전 공공 기관 종사자
        3. 타 지역 이주 재개발 구역 내 세입자
        4. 다자녀 가구
        5. 2자녀 가구
    6. 부부 합산 순자산 3.61억 원 이하
    7. 연체, 부도 등의 기록이 없는 사람
    8. 대출 접수일 현재 공공 임대 주택에 입주하고 있지 않은 사람
  2. 대상 주택
    1. 전용 면적 85m^2 이하 / LH, SH 소유의 기숙사
    2. 임차 보증금
      1. 일반 & 신혼부부: 수도권 3억 원 / 그 외 2억 원
      2. 2자녀 이상: 수도권 4억 원 / 그 외 3억 원

 

 

버팀목 전세 자금 대출 「신청 시기」 「이용 기간」 「상환 방법」

  1. 신청 시기
    1. 전세 계약 잔급 지급일과 전입일 중 빠른 날로부터 3개월 이내
    2. 계약 갱신인 경우 갱신일 3개월 이내 
    3. 월세에서 전세로 가는 경우 전환일

  2. 이용 기간
    1. 기본 2년 (4회 연장 가능, 최대 10년 가능)
    2. 최장 10년 이용 후 연장 시점 기준 미성년 1자녀 당 2년씩 추가 가능 (최장 20년 이용 가능)

  3. 상환 방법
    1. 일시 상환 또는 혼합 상환
    2. 기한 연장 조건: 기한 연장 시 최초 대출금의 10% 이상 상환 또는 상환 불가 시 연 0.1% p 금리 가산

 

 

버팀목 전세 자금 대출 「대출 한도」 (1, 2, 3번 중 가장 적은 금액으로 산정)

 

 

  1. 대출 한도
    1. 일반 가구: 수도권 (서울, 경기, 인천) - 한도 1.2억 원 / 그 외 지역 - 8,000만 원
    2. 2자녀: 수도권 3억 원 / 그 외 지역 - 2억 원

  2. 소요자금 대출 비율
    1. 일반: 전세 금액의 70% 이내
    2. 신혼, 2자녀: 전세 금액의 80% 이내

  3. 담보별 대출 한도
    1. 한국 주택 금융 공사 기준
      1. 수도권 - 7억 원 / 그 외 - 5억 원
      2. 보증금 5% 이상 지급한 세대주일 것
      3. 부부 합산 주택 보유수 1 주택 이내
      4. 부부 합산 3억 원 이하 투기 지역과 투기 과열 지구 내 소재 아파트 소유권 X
      5. 보증 대상물이 노인 복지 주택인 경우 노인 복지법에 정하는 입소자일 것
    2. 주택 도시 보증 공사 (전세금 안심 대출 보증 기준)
      1. 전세 보증금의 80% 이내
      2. 신혼부부, 청년: 90% 이내
        1. 신혼부부: 연 소득 6,000만 원 이하
        2. 청년: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 / 나이 만 19 ~ 34세
    3. 한도 금액: 연간 인정 소득 - 본인 부채 금액의 25% - 기 기금 전세 자금 대출 잔액
연간 소득 연간 인정 소득
무 소득자 (1,500만 원 이하 포함) 4,500만 원
1,500만 원 ~ 2,000만 원 이하 연간 소득 X 3.5
2,000만 원 초과 연간 소득 X 4.0

 

 

버팀목 전세 자금 대출 「금리」

부부 합산
연 소득
임차 보증금
5,000만 원 이하 5,000만 원 ~ 1억 원 1억 원 초과
2,000만 원 이하 1.8% 1.9% 2,0%
2,000만 원 ~ 4,000만 원 2.0% 2.1% 2.2%
4,000만 원 ~ 6,000만 원 2.2% 2.3% 2.4%
  • 금리 우대 (아래 3가지는 중복 적용 불가)
    1. 연 소득 4,000만 원 이하 기초 생활 수급권자 & 차상위 계층: 연 1.0% p
    2.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 한부모 가구: 연 1.0% p
    3. 장애인 & 노인 부양 & 다문화 &  고령자 가구: 연 0.2% p
  • 추가 우대 금리 (아래 3가지 중복 적용 가능 / 단, 우대 금리 적용 후 최종 금리가 연 1.0% 미만인 경우 연 1.0%로 적용)
    1. 주거 안정 월세 대출 성실 납부자: 연 0.2% p
    2. 부동산 전자 계약 체결 (2023.12.31 신규 접수까지만): 연 0.1% p
    3. 다자녀 가구: 연 0.7% p
    4. 2자녀 가구: 연 0.5% p
    5. 1자녀 가구: 연 0.3% p

 

< 내가 버팀목 전세 자금 대출 대상인지 확인하는 사이트>

 

 

 

추가 문의 사항은 주택도시 보증 공사 콜센터(1566-9009)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디딤돌 대출의 모든 것! 이것 만은 꼭 알아야 합니다.

디딤돌 대출은 어떻게 보면 인생에 단 한 번뿐인 최고의 재테크 수단이라고 볼 수도 있는 제도입니다. 꼭 잘 활용해서 한 단계 부를 쌓는 기회가 되시길 바랍니다. 주택 담보 대출은 디딤돌 대출

information-b.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