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펀드는 현금으로 보유할 수도 있고 선택의 폭이 IRP에 비해 더 다양하다.
또한, 연금저축펀드는 100% 주식 관련 상품에만 투자도 가능한 공격적인 투자도 가능하기지만 IRP의 경우 30% 안전자산 룰이 있기 때문에 조금 어려운 느낌이 있다.
IRP계좌는 예금/RP/ELB/국고채/회사채/펀드/ETF/ELS/리츠에 투자 가능하다.
특이점으로는 현금으로 가지고 있는 것이 없고, 대신 (MMDA)를 기본값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선물지수를 활용하는ETF 등도 되지 않아 연금저축에 비해 ETF 선택의 폭이 50여개가 적다.
대신 RP/ELB등 원리금 보장 상품과 인프라 펀드를 매수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원리금 보장상품 등을 섞어서 조금 더 보수적으로 하길 원하는 경우 IRP가 유리하다.
1. 30% 룰이란?
먼저, 기본 내용에 대해 소개한다.
① IRP계좌는 수수료가 발생한다.
증권사마다 적게는 0.1%에서 많게는 0.5%까지 발생하기 때문에 확인이 필수이다.
다만 요즘은 운용, 자산관리 수수료가 무료로 하는 이벤트를 많이 하고 있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 자기 부담금 수수료만 무료이고, 퇴직금은 수수료가 있는 경우가 많기에 속지 않게 잘 체크해야 한다.
② IRP계좌에서 ETF 거래를 많이 하는데 ETF 거래 수수료 체크도 필수이다.
해당 사항도 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많이 하고 있으며, 특히 계좌를 비대면으로 개설하는 경우 무료 이벤트가 많은 편이다. 잘 확인하고 수수료가 없는 증권사를 선택해야 한다.
③ IRP 계좌는 연금저축펀드계좌와 다르게 안전형 자산에 30% 이상 무조건 투자해야 한다.
즉, 100% 주식형 투자를 할 수 없다는 얘기이다.
2. 투자 방법 소개
① KODEX TRF3070 (329650) 상품에 투자하기
글로벌 선진국 주식 : 국내채권 = 3:7 비중으로 투자하는 방법이다.
쉽게 말해 안전자산 30%를 KODEX TRF3070 풀매수하고 나머지 70%는 나스닥 or S&P500 매수하는 것이다.
이 경우 주식 비중은 79% 정도 된다.
다만, KODEX TRF3070은 채권 비중이 70% 이므로 ETF 자체 수익률은 높지 않은 편이다.
② 펀드 TDF2045에 투자하기
주식과 채권을 나이대에 맞게 알아서 조절해 주는 펀드이다.
그렇기에 안전자산으로 취급된다.
하지만 높은 수수료가 발생하며 거래가 바로바로 되지 않는다.
또한 펀드 운용을 잘하고 있는지 꾸준히 모니터링해줘야 하는데 이게 쉽지가 않다.
주식 비중은 최대 87%까지 운용할 수 있다.
③ 위험자산 70% 투자 방법
기술주에 투자 = 나스닥 ETF를 투자하는 방법이 있다.
나스닥 ETF의 종류에는 TIGER 미국나스닥 100 / KINDEX 미국나스닥 100 / KBSTAR 미국나스닥 100 / KODEX 미국나스닥 100TR(배당금이 자동으로 재투자되는 토털리턴 ETF) 등이 있다.
또한, S&P 500 지수 추종 ETF (tiger 추천)나 나스닥 100 ETF(QQQ)도 괜찮다고 본다.
3. 주의할 점
IRP 계좌는 일부 해지가 없다.
전액만 가능하다.
중도(일부) 인출이 가능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① 6개월 이상 요양/의료비
② 개인회생/파산선고
③ 천재지변
④ 사회적 재난(특별재난지역)
⑤ 무주택자 주택구입/전세보증금
'정보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먹으면 3시간동안 정자가 기절하는 피임약?! (0) | 2023.02.24 |
---|---|
2023 국민연금 조기 수령 해야 할까? 아니면 연기?(feat. 기초연금, 건강보험료, 유족연금) (0) | 2023.02.12 |
때늦은 IRP에 대한 모든 것 (연말정산은 지나갔고...) (0) | 2023.02.06 |
윤석열 대통령 말말말 (0) | 2023.02.01 |
2023년 공무원은 더 이상 철밥통이 아니다? (feat. 석열이형 멈춰~) (0) | 2023.02.01 |
댓글